“한국 성인 76%, 노후대비 필요하지만 실행 못해”

“한국 성인 76%, 노후대비 필요하지만 실행 못해”

입력 2014-01-28 00:00
업데이트 2014-01-28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20대 이상 성인 4명 중 3명은 은퇴 후 생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피델리티 자산운용은 28일 한국, 일본, 홍콩 등 3개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담은 ‘피델리티 은퇴백서 뷰포인트’ 7호를 발간했다.

한국의 20대 이상 소득활동 종사자 600명에게 물은 결과 75.8%가 은퇴 준비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제 은퇴 준비를 행동에 옮기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소득 중 은퇴에 대비하는 금액의 비중이 10% 미만인 응답자도 47.8%에 달했다.

홍콩에서는 30∼49세 미혼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가 은퇴 후 계획을 세웠고 퇴직연금 외에도 저축(62%), 투자(58%) 등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투자에 적극적인 홍콩 싱글족은 자신이 평균 이상의 안락한 은퇴 후 생활을 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비율이 86%에 달했다.

반면 일본의 직장인들은 54.2%가 은퇴 후 인생에서 최대의 우려 사항으로 ‘부족한 생활비’를 꼽았다.

20∼50대 일본 직장인 1만명 가운데 “은퇴 이후를 위해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8.3%에 불과했고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있다”는 이는 41.7%에 달했다.

마이클 리드 피델리티 자산운용 대표는 “은퇴 후 준비를 실천하지 못하는 한국 직장인들도 은퇴 플랜을 세우고 더 적극적인 투자 행동에 나선다면 홍콩의 싱글족과 같이 은퇴 후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