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절반 최근 1년간 복권 샀다…대부분 1만원 이하

성인 절반 최근 1년간 복권 샀다…대부분 1만원 이하

입력 2015-01-22 14:34
업데이트 2015-01-22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또복권 구매자 연간 구입횟수 15.1회→13.4회로 줄어

성인 10명 중 5명꼴로 최근 1년간 복권을 산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지난해 11월 14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상대로 ‘복권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중 53.7%가 최근 1년간 복권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그러나 복권 구매자 중 87.8%는 한 차례 복권을 구입할 때 1만원 이하 소액을 썼다고 답했다.

복권 구매자의 절반가량(53.7%)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400만원이었다.

로또복권을 기준으로 보면 지난 1년간 구매자의 구입 횟수는 총 13.4회로, 한달에 한번 꼴이었다.

1년전 조사치(15.1회)보다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복권 구입 장소는 복권방(60.5%)이 가장 많고 편의점(30.0%)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62.9%는 ‘복권이 있어 좋다’고 평가했는데, 이 비율은 2011년 이후 4년 연속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복권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남성과 30∼50대의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복권이 좋은 이유로는 희망·기대(35.4%), 소외계층 지원(30.7%), 삶의 흥미·재미(21.0%) 등을 꼽았다.

복권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그 이유로 ‘살 때 겸연쩍다’(41.2%), ‘일확천금을 쫓는 도박이다’(58.0%) 등을 들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복권(8.2%)보다는 주식(20.2%), 스포츠토토(19.2%) 등의 사행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복권 전자카드제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14.6%)이 많지 않았으며 도입하더라도 현금구매를 병행(30.2%)하거나 지금처럼 현금구매를 유지(46.1%)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복권 수익으로 조성되는 복권기금으로 지원해야 할 분야로는 저소득층 주거안정(58.9%), 소외계층 복지(24.8%), 국가유공자 지원(9.1%), 재해·재난 등 지원(4.0%)을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