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에도 작년 주택가격 1.48% 올라…전년도의 2배

정부 규제에도 작년 주택가격 1.48% 올라…전년도의 2배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1 11:37
업데이트 2018-01-01 1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종 4.29%로 1위, 서울 3.64%로 2위…전세 시장은 안정

지난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상승률이 전년도의 2배 수준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 대비 1.4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연간 0.71% 상승한 것에 비해 오름폭이 2배 이상으로 커진 것이다.

광역시·도 가운데 지난해 세종시의 집값이 4.29%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서울이 3.64%로 뒤를 이었다. 세종과 서울은 지난해 정부의 8·2부동산 대책 등의 집중 타깃이 됐지만 2016년(각각 0.79%, 3.64%)보다 되레 상승폭이 확대됐다.

정부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에 투자수요와 실수요가 여전히 몰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2016년 1.84% 하락했던 대구는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1.29%로 상승 전환했다.

경기(1.67%)와 인천(1.42%), 평창동계올림픽 특수를 누린 강원(2.40%) 등도 전년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그러나 경남(-1.62%), 울산(-1.08%), 충남(-0.53%), 충북(-0.36%), 경북(-0.90%) 등은 조선업종 구조조정과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집값이 하락하며 양극화된 모습을 보였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2.67%, 아파트 1.08%, 연립주택이 1.07% 오르며 모든 유형에서 전년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매매와 달리 전셋값은 안정세를 보이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짝수해보다 홀수해에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던 ‘홀수해 법칙’이 깨졌다.

감정원 조사 기준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 상승률은 0.63%로 전년도(1.32%)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지난해 집값 강세로 전세 수요자들이 내집 마련에 나선데다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갭투자’가 증가하면서 전세 공급이 늘어난 영향이다.

서울의 전셋값이 2.03%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반면 입주물량이 몰린 세종은 전셋값이 7.05% 떨어져 하락률 1위를 기록하며 매매 시장과 대조를 이뤘다.

한편 지난해 12월 주택 매매가격은 11월 대비 0.11% 올랐다. 11월 조사(0.13%) 때보다 오름폭은 둔화한 것이다.

지방 주택가격이 -0.01%로 하락 전환했으나 서울은 0.59%로 전월(0.36%)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전국의 12월 주택 전셋값은 0.03% 떨어져 2012년 9월 상승 전환 이후 약 5년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접근성이나 학군이 양호한 지역은 실거주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며 국지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입주물량이 늘고 있는 지역에서 약세를 보였다.

올해 전국적으로 새 아파트 등 주택 입주량이 증가할 예정이어서 전셋값 약세가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서울의 전셋값이 지난해 11월 0.21%에서 12월에는 0.17%로 오름폭이 줄었고, 경기도는 입주물량 증가 여파로 12월 들어 -0.12%로 하락 전환했다.

지방의 전셋값도 0.05% 내려 11월(-0.03%)에 비해 낙폭이 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