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배터리 소재 규제해도…“의존도 낮고 국내 공급량도 상당”

日 배터리 소재 규제해도…“의존도 낮고 국내 공급량도 상당”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7-07 11:15
업데이트 2019-07-07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첨가제·원료·설비 의존도는 높아…“日 영향서 벗어나진 못해”

‘제2의 반도체’라 불리는 전기차 배터리는 일본의 수출규제 가능성에서 그나마 자유로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배터리 4대 핵심소재의 대(對)일본 의존도가 낮은 편이어서다.

다만 일부 첨가제나 원료, 설비 등에 대한 의존도는 여전히 높아 일본의 추가 규제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는 지적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7일 ‘리튬이온 이차전지 재료의 일본 의존도는’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한국 배터리 완성품 제조업체의 이차전지 주요 소재별 대일 의존도와 공급 체인을 살펴봤다.

이중 배터리 4대 소재로 불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일본 의존도는 ‘낮음’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양극재의 일본 주요 기업은 스미토모(住友)와 니치아(日亞)”라며 “스미토모는 파나소닉과 테슬라의 기가팩토리에 양극재를 공급해 한국 기업과의 연관성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 비중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등 양극재 기업의 기술력이 상당 수준 확보된 상태다.

음극재와 전해액의 경우 중국의 BTR, 산산(杉杉) 등 업체의 공급량이 많고 국내에서는 포스코케미칼, 엔켐 등 업체가 관련 생산 기술을 갖췄다.

특히 아사히 카세이(旭化成) 등 일본 업체가 시장 점유율 1∼2위를 차지해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됐던 분리막 또한 국내 SK이노베이션과 중국 업체들의 공급량이 상당해 문제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일본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중국이 생산하는 4대 소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양극재 66.4%, 음극재 77.3%, 전해액 69.9%, 분리막 54.8% 등으로 압도적인 위치를 점했다.

일본의 경우 점유율이 각각 13.6%, 18.9%, 23.6%, 37.1%였고, 한국은 양극재에서 9.2%, 음극재 3.9%, 전해액 6.6%, 분리막 8.1%를 차지했다.

다만 국내에서는 LG화학이 양극재 내재화 비중을 현재 25% 수준에서 50%까지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고, 투자 업계에서는 SK이노베이션의 분리막 생산능력이 2021년 3.8배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는 자원에 밀리고 일본에는 기술에 밀려 소재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내재화 비중을 늘리는 과정은 꾸준히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배터리 관련 원천 기술이 주로 일본 학계와 업계에서 연구개발된 것이어서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무시할 순 없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양극재와 음극재를 잘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품질 바인더 등 원료, 동박 제조에 쓰이는 설비, 전해액 첨가제 등이 대표적이다. 모두 보고서에서 의존도 ‘높음’으로 평가됐다.

특히 전해액 첨가제는 기술 특허를 일본 기업들이 소유하고 있어 자유롭지 않고 일본은 기술의 해외 이전을 억제해 중국과 한국 등의 추격을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극재 업체 관계자는 “4대 소재에서 안심한다고 해도 원료와 설비 등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하다”면서 “그렇다고 원료까지 개발하기엔 비용이 중소·중견 업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