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은 신년사로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언급했을까?

10대 그룹은 신년사로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언급했을까?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2-01-04 10:45
업데이트 2022-01-04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객’ 40회로 1위...미래·투자 부상
코로나19 9위서 29위로 순위 밀려나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디지털 신년사를 통해 그룹 전체 임직원에게 “2022년에는 고객 가치 실천 활동을 더욱 확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서울신문 DB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디지털 신년사를 통해 그룹 전체 임직원에게 “2022년에는 고객 가치 실천 활동을 더욱 확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서울신문 DB
10대 그룹은 신년사로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언급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객’이다.

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10대 그룹의 2022년 신년사 키워드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 ‘고객’이 40회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은 4년 연속 언급 횟수 1위라는 기염을 토했다. 그만큼 기업이 고객중심 가치를 지향하고 중점을 둔다는 의미다.

LG그룹(13회)과 신세계그룹(10회), 현대차그룹(7회), 삼성그룹(4회)이 핵심 키워드로 고객을 제시했다. 이 중 LG그룹은 4년 연속으로 고객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특히 올해 신년사에서 눈에 띄는 점은 ‘미래’와 ‘투자’가 주요 키워드로 부상하고 ‘코로나19’ 언급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미래’ 키워드는 34회 언급돼 3년 연속 2위였던 ‘성장’을 밀어내고 2위에 올랐다.

지난해 언급 횟수 순위 30위 밖이었던 ‘투자’도 올해는 16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신년사에서 총 7회에 걸쳐 투자를 언급한 것이 순위를 밀어 올린 데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난해 언급 횟수 22회로 9위였던 코로나19는 올해는 15회 언급되는 데 그쳐 순위가 29위로 밀려났다. 이는 기업들이 2년에 걸친 코로나 위기를 올해는 털어버리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다짐과 도전정신을 담았다는 의지로 읽힌다.

CEO스코어는 “기업의 주요 관심사가 코로나19 사태라는 위기 극복을 넘어 미래 시장 대비를 통한 성장 전략으로 옮겨진 것 같다”고 풀이했다.

그룹별 주요 키워드를 보면 ▲삼성은 가치(6회), 고객·기술·문화·존중(각 4회) ▲현대차는 분야(다양한 사업 분야·8회), 고객(7회), 가능·성장(각 6회) ▲SK는 행복(7회), 글로벌(4회), 스토리·미래·변화·코로나19·탄소(각 3회) ▲LG는 고객(13회), 경험(10회), 가치(6회) ▲롯데는 도전(6회), 실패(5회), 새로움·조직(각 4회) 등으로 조사됐다.
백민경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