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면 발코니에 지하 전용 창고 옥외 공간 마당 형태 테라스로

3면 발코니에 지하 전용 창고 옥외 공간 마당 형태 테라스로

입력 2014-12-01 00:00
업데이트 2014-12-0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파트 설계 특화 경쟁

아파트 설계가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건설사들이 보다 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화된 설계를 선뵈고 있다.

이미지 확대
현대엔지니어링은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에서 서비스 면적을 극대화한 주상복합아파트 ‘힐스테이트 광교’를 분양한다. 928가구 중 753가구에 앞·뒤·옆면 3면에 발코니(평면도)를 설치한 아파트다. 97㎡(B타입 제외)와 107㎡의 경우 3면에 발코니를 설치, 이를 확장하면 서비스 면적이 41∼55㎡에 이른다. 전용면적의 절반에 가까운 서비스 면적이 제공되는 셈이다.

펜트하우스(전용 145㎡, 155㎡) 18가구는 서비스 면적이 웬만한 중소형아파트 규모와 맞먹는다. 3면 발코니가 적용돼 발코니 확장 면적이 57∼63㎡에 이르고 29∼37㎡ 규모의 테라스까지 별도로 설치해 전체 서비스 면적이 86∼99㎡에 달한다.

롯데건설은 세대별 지하 전용창고가 달린 아파트를 내놓았다. 서울 영등포구 당산역 롯데캐슬 프레스티지에 레저·스포츠 용품이나 대형 여행용 가방 등 자주 사용하지 않는 물품들을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가족 구성원과 생활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생기는 물품의 정리와 보관이 쉽도록 한 창고다. 엘리베이터로 창고에서 지하 주차장까지 한 번에 연결돼 물품 수납과 이동도 쉽다.

GS건설은 서울 종로구 교남동 ‘경희궁 자이’ 아파트 테라스 공간을 특화했다. 1층에는 가운데 정원 형태의 테라스 공간을 조성, 단독주택 분위기를 연출했다. 최상층은 복층형 상·하부층의 옥외 공간을 마당 형태의 테라스 공간으로 꾸몄다.

아파트 건물 출입구에도 현관 앞쪽으로 낮은 담으로 둘러싸인 마당 느낌의 작은 외부 공간을 만들었다. 필로티 공간에는 대청마루와 같은 쉴 공간을 마련해 전통 한옥의 현관 느낌이 나도록 설계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입주민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고 분양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건설사들의 설계 특화 경쟁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2-01 23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