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7만 5000가구 10년 만에 최다… 원희룡 “건설사 노력 먼저”

미분양 7만 5000가구 10년 만에 최다… 원희룡 “건설사 노력 먼저”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3-03-01 00:10
업데이트 2023-03-01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월 주택매매량 작년比 38.2%↓
국토부 “아직 개입할 단계 아냐”

이미지 확대
전세도 세 달째 하락최근 전셋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51.2%로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28일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앞에 붙은 급전세 안내문. 연합뉴스
전세도 세 달째 하락최근 전셋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51.2%로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28일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앞에 붙은 급전세 안내문.
연합뉴스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 5000가구를 넘어서며 10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정부는 건설사의 가격 할인 등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아직 개입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5359가구로 전월(6만 8148가구) 대비 10.6% 늘었다. 이는 2012년 11월(7만 6319가구)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다만 직전 두 달에 비해 증가폭은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11~1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1만가구씩 급증했으나 지난 1월엔 7211가구 늘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546가구로 전월(7518가구)에 견줘 0.4%(28가구) 소폭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최근 증가세지만 2018~2019년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다.
이미지 확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는 아직 개입할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이 아직 많지 않고 건설사의 밀어내기로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생긴 일종의 착시현상 탓이라는 것이다.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현재 미분양은 건설사의 가격 할인 등 자구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는 일시적인 마찰성 미분양이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미분양 물량을 지역별로 보면 지방에 84%가 몰렸다. 지방 미분양 주택은 6만 3102가구로 전월(5만 7072가구)과 비교해 10.6% 늘었다. 전북이 4086가구로 전월보다 미분양이 62.1%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대구는 전월에 비해 0.9% 증가했지만 1만 3565가구로 여전히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만 2257가구로 전월(1만 1076가구)보다 10.7% 증가했다.

규모별로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8926가구로 전월보다 25.9% 늘었다. 85㎡ 이하 미분양은 6만 6433가구로 전월과 비교해 8.8% 증가했다.

한편 지난 1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2만 576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2% 줄었다. 수도권은 1만 299건으로 36.5%, 지방은 1만 5462건으로 39.4% 감소했다. 서울 주택 매매량은 264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3% 급감했다.

다만 서울 아파트 월별 거래량은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61건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였고 12월 1001건으로 올랐다. 올 1월에는 1161건으로 늘었다.
세종 옥성구 기자
2023-03-01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