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새해 들어 휴전협상 돌입…난항 예상

남수단 새해 들어 휴전협상 돌입…난항 예상

입력 2014-01-02 00:00
업데이트 2014-01-02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전 감시 절차 합의 등 필요…격전지 보르 등 비상사태 선포

2주 넘게 내전 중인 남수단 정부와 반군이 새해를 맞아 휴전협상에 나섰으나 휴전 감시기구 합의 등을 두고 난항이 예상된다.

남수단 정부는 협상을 앞두고 전투가 계속되고 있는 격전지 보르 등이 있는 2개 주(州)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남수단 정부군과 반군 협상단은 1일(현지시간) 협상 장소인 이웃국가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도착했다고 AP통신 등 외신이 에티오피아 총리실 대변인을 인용해 보도했다.

아프리카정부간개발기구(IGAD)의 중재로 이뤄진 이번 협상은 1일 늦게나 2일 시작될 예정이다.

영국 BBC방송은 정부군과 반군이 먼저 휴전 상황을 감시할 절차를 합의해야 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또 남수단 살바 키르 대통령이 반군 지도자이자 오랜 정적(政敵)인 리크 마차르 전 부통령과 권력을 나누기를 거부하고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힐데 존슨 유엔 남수단 특별대표는 “키르 대통령과 마차르 전 부통령은 아직 남수단을 낭떠러지에서 건져낼 수 있다”며 성실한 협상을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키르 대통령은 1일 유혈사태가 중단되어야 한다며 유니티와 종글레이 등 전투가 격렬한 2개 주(州)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보르는 종글레이주의 주도이자 수도 주바의 길목인 요충지로 정부군과 반군의 힘겨루기가 가장 치열하다.

비상사태 선포로 반군에 가담한 종글레이와 유니티주의 관리들은 의회 투표없이 해임될 수 있다고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했다.

남수단 내전은 키르 정권이 지난달 15일 마차르 전 부통령 측을 쿠데타 세력으로 규정하면서 일어났다.

마차르 전 부통령을 지지하는 군인들과 ‘백군’(白軍) 민병대는 남수단 유전지대를 점령하면서 정부군과 충돌, 지금까지 최소 1천명이 숨지고 18만여 명이 집을 잃었다.

부족 갈등이 심해지면서 민간인·포로 학살과 약탈 등도 횡횡하고 있다. 키르 대통령은 남수단 최대 부족인 딘카족이고 마차르 전 부통령은 그다음으로 규모가 큰 누에르족 출신이다.

유엔은 남수단에 평화유지군을 보내 민간인 보호 등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도 보르에 공병·의무병 등으로 구성된 한빛부대 280여명을 파병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