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마다 빵빵 터지는 가상현실…‘오즈’의 세계에서 펼쳐지는 마법

공연마다 빵빵 터지는 가상현실…‘오즈’의 세계에서 펼쳐지는 마법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29 19:46
업데이트 2024-04-29 19: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아뮤즈엔터테인먼트 제공
아뮤즈엔터테인먼트 제공
“진짜 실수였어요.”

버튼을 맡은 배우가 양철과의 대결에서 진 사연을 솔직하게 털어놓자 객석에서는 웃음이 빵 터졌다.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게임에 안 그래도 시끌벅적한 공연의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른 순간이었다. 그날그날 달라지는 결과에 배우의 즉흥 대사까지 나올 수 있던 것은 관객참여형 뮤지컬 ‘오즈’이기에 가능한 장면이었다.

판타지 소설 ‘오즈의 마법사’를 모티브로 창작한 ‘오즈’가 공연마다 달라지는 이야기로 관객들을 공연장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오즈’는 가상현실(VR)게임인 ‘오즈’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인간과 VR 게임 세상 속 인공지능(AI) 캐릭터의 우정을 그린다. 무과금 유저인 준과 그의 AI 양철, 과금 유저인 맥스와 그의 AI 버튼이 함께 게임 속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대결을 펼치는 내용이다.

‘오즈’는 쉽게 말해 롤플레잉 게임을 하는 것을 뮤지컬로 만든 작품이다. 게임 속 최상위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준과 맥스가 대결하고 이들을 돕는 AI 캐릭터인 양철과 준이 주인과 함께한다. 게임을 소재로 한 작품답게 게임 속 미션을 무대 위에 구현하는 등 기술을 세련되게 접목한 무대 연출이 돋보인다. 신선한 시도지만 모바일 게임을 쉽게 즐길 수 있는 요즘 관객들에게는 이질감 없이 다가온다.
이미지 확대
아뮤즈엔터테인먼트 제공
아뮤즈엔터테인먼트 제공
이 작품의 매력은 무엇보다 관객이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 있다. 관객이 배우와 팀을 이뤄 같이 대결을 펼치는가 하면 배우들이 관객의 입장권에 동봉된 카드를 찾아 객석 여기저기를 돌아다니기도 한다. 신나게 웃고 떠드느라 흔히 말하는 시체관극(죽은 듯 극도로 조용히 공연을 보는 관람문화)이 아예 불가능한 구조다.

재미있게 공연을 관람하다 보면 이야기는 어느새 오지 않았으면 싶은 슬픈 결말에 가 닿는다.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진심 어린 우정은 깊은 감동과 함께 관객들의 눈시울을 적신다. 어른들은 이해 못 할 가상현실 속 게임을 주제로 했지만 서로의 마음에 온기를 채우는 존재, 그리고 서로를 위해 해줄 수 있는 최선이 무엇인지 대해 생각하게 되는 뭉클한 작품이다. 대학로 뮤지컬의 매력을 제대로 뽐내면서 잔여 공연도 모두 매진이다. 5월 6일까지.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