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 탁 톡 탁… 배드민턴 치듯, 까만 세상을 날려 봐[어린이 책]

톡 탁 톡 탁… 배드민턴 치듯, 까만 세상을 날려 봐[어린이 책]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1-26 01:06
업데이트 2024-01-26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단오 씨, 날다
임복순 지음/ 도아마 그림
창비/116쪽/1만 2000원

이미지 확대
‘할아버지가 보내 주신 감자를/열심히 구워 먹고 삶아 먹었지.//다 먹고 나니까/또 감자 생각이 나.//요 며칠 사이에 감자가 나를/확실히 구워삶아 놓았어.’(구워삶기)

슬며시 웃음이 비어져 나오는 언어유희 속 포근한 유머가 동시 읽는 재미란 이런 것임을 새삼 일러 준다. 2011년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한 임복순 시인의 두 번째 동시집 ‘김단오 씨, 날다’에는 이처럼 따뜻한 시선과 감칠맛 나는 문장으로 쓰인 시들이 정다운 풍경을 이루고 있다.

특히 표제작 ‘김단오 씨, 날다’에서는 비상과 추락을 거듭하는 셔틀콕에서 이름을 날리는 셔틀콕 생산자를 발견하는 시인의 세심한 관찰과 발상이 돋보인다. 일상의 무게에 짓눌리거나 삶의 험로를 굽이굽이 돌아가는 이들을 향해 ‘톡 탁 톡 탁’ 띄워 올려 주는 응원과 격려 같다.
이미지 확대
‘톡 탁 톡 탁/배드민턴을 한다.//하얀 깃털 단 공이/난다.//하얀 깃털 단 공 속/까만 이름이/난다.//(셔틀콕 생산자 김단오)//여기서/저기서/김단오 씨가 이름을 날린다.’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시인은 아이들의 천진함과 순진무구함으로 세상이 환해지는 찰나를 놓치지 않고 시로 알알이 맺어 놓았다. ‘통일은 어려운’ 1학년 학생들의 화장실 가는 시간에서도, 선생님을 ‘완벽한 사람’으로 봐주는 아이들의 사랑에서도 시를 건져 올린다. 이렇게 시인은 “동시는 어린이들에게서 출발해야 하며 거기서 나아가 어른 독자들에게도 즐거움과 감동을 주는 문학”이라는 자신의 동시론을 자기 작품으로 펼쳐 보인다.

‘가장 먼저 교실에 들어온 태성이가 책을 본다.//뒤에 온 동주가 책가방 내려놓고//태성이 오른쪽 어깨 뒤에 붙어 책을 본다.//다음에 온 정민이도 책가방 내려놓고//태성이 왼쪽 어깨 뒤에 붙어 책을 들여다본다.//태성이가 눕혀 놓고 보던 책을 슬그머니 세운다.//아침 햇살은 교실 가득 스며들고//태성이 양쪽 어깨에는 날개가 돋아 있다.’(아침에 돋는 날개)

정서린 기자
2024-01-2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