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무역불안에 외국인 ‘셀 코리아’ 가속…주식·원화가치 동반 추락

무역불안에 외국인 ‘셀 코리아’ 가속…주식·원화가치 동반 추락

최선을 기자
입력 2019-05-29 22:27
업데이트 2019-05-30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중 무역전쟁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가운데 28일(현지시간) 미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해 발표했다. 사진은 미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인 벤저민 프랭클린이 도안된 100달러 지폐와 중국 초대 국가주석 마오쩌둥이 새겨진 100위안 지폐가 양국 국기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미중 무역전쟁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가운데 28일(현지시간) 미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해 발표했다. 사진은 미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인 벤저민 프랭클린이 도안된 100달러 지폐와 중국 초대 국가주석 마오쩌둥이 새겨진 100위안 지폐가 양국 국기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이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29일 국내 금융시장에서 주식과 원화 가치가 급락했다. 채권시장에서는 3년물과 5년물에 이어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기준금리 아래로 떨어졌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25%(25.51포인트) 내린 2023.32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1월 4일(2010.25) 이후 가장 낮다. 장중 한 때 2016.25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외국인이 361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기관은 1710억원을, 개인은 1936억원을 각각 순매수했다. 4거래일 동안 외국인이 내다 판 한국 주식만 1조 6000억원에 이른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대한 우려로 지수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코스닥 지수도 전날보다 1.61%(11.29포인트) 떨어진 691.47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03억원, 54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반면 개인은 1393억원을 순매수했다.

 원화 가치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8.1원 오른 달러당 1193.9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1196.2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외국인 주식 순매도에 따라 달러 송금 수요가 발생한 데다가 위안화 약세가 원화 약세로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를 전보다 0.02% 절하한 달러당 6.898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 매도가 많이 나오니까 원화 약세가 커졌고, 원화 약세가 커지니까 외국인 매도가 더 늘어난 것”이라면서 “이탈리아가 재정 적자 문제로 유럽연합(EU) 집행위윈회로부터 제재금을 부과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과 ‘노딜 브렉시트’ 우려가 나오면서 유로화는 약세, 달러는 강세를 보인 점도 원·달러 환율 상승의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채권값 상승)하면서 연저점을 새로 썼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자 부동자금이 안전자산으로 대거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5.2bp(1bp=0.01% 포인트) 하락한 1.741%로 마감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인 1.75% 아래로 떨어진 수치다.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기준금리 밑으로 내려간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날 국고채 3년물과 5년물 금리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3년물은 3.5bp 떨어진 1.619%에, 5년물은 4.0bp 떨어진 1.642%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화웨이가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는 소식에 미중 무역분쟁이 해결되기보다는 오래가겠다는 우려가 불거지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커졌다”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9-05-30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