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D 업무’ 많은 감염병 현장, 로봇이 의료진 짐 덜어줄까

‘3D 업무’ 많은 감염병 현장, 로봇이 의료진 짐 덜어줄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0-03-25 17:26
업데이트 2020-03-26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논평

표면소독 기능으로 병원 내 감염 막고
열 측정·폐기물 처리 등 업무 가능 판단
“아직 인간과 상호작용 어려워” 진단도
이미지 확대
미 육군은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돕는 ‘전장구출지원로봇’(BEAR)을 개발했다(왼쪽). 의료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료현장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휴머노이드 소셜로봇은 병원에서 환자와 환자가족을 돌보거나 감염병이 확산되고 있을 때는 병원균 확산 우려 없이 격리자를 돌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국 육군연구소 제공
미 육군은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돕는 ‘전장구출지원로봇’(BEAR)을 개발했다(왼쪽). 의료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료현장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휴머노이드 소셜로봇은 병원에서 환자와 환자가족을 돌보거나 감염병이 확산되고 있을 때는 병원균 확산 우려 없이 격리자를 돌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국 육군연구소 제공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거침없이 휘저으며 확산되고 있다. 가장 심각한 상황에 놓인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는 확진환자와 사망자가 매일 늘어나는 데다 병상까지 부족해 의료 시스템이 사실상 붕괴됐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연초 ‘겁낼 것 없다’고 큰소리치던 미국도 뉴욕을 비롯한 3개주에 주 방위군을 투입하고 이제는 의료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의대생을 투입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벨기에 AZ다미안 병원의 간병로봇 ‘페퍼’가 아기와 산모를 돌보고 있는 모습. 벨기에 AZ다미안 병원 제공
벨기에 AZ다미안 병원의 간병로봇 ‘페퍼’가 아기와 산모를 돌보고 있는 모습.
벨기에 AZ다미안 병원 제공
이런 극한 상황에서 로봇이 코로나19를 퇴치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과학자들의 의견이 제시돼 주목받고 있다.

중국 상하이 교통대 의료로봇연구소,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ETH), 미국 텍사스A&M대, 카네기멜런대,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대(UC샌디에이고), 스탠퍼드대, UC버클리, 존스홉킨스대, 이탈리아 산타나대 바이오로보틱스연구소, 일본 도쿄대, 스웨덴 왕립공과대 소속 로봇 과학자들은 로봇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26일자 논평을 통해 감염병이 급속히 확산되는 요즘 같은 상황에서는 로봇이 ‘단순하고(dull) 더럽고(dirty) 위험한(dangerous)’ 임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를 비롯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은 침방울이나 신체 접촉은 물론 오염된 표면을 통해 확산된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발생했을 때는 의료진에 의한 병원 내 감염으로 급격히 확산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자외선(UV) 표면소독 기능을 장착한 로봇이 의료 현장에 투입되면 바이러스의 확산 가능성을 낮춰 현재와 같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북부 롬바르디아주에 있는 브레시아 병원에 천막 응급실 모습. 감염병의 대유행 상황에서는 의료진을 포함해 의료지원시스템 전체가 부족해진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의료용 로봇 사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언스 로보틱스 제공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북부 롬바르디아주에 있는 브레시아 병원에 천막 응급실 모습. 감염병의 대유행 상황에서는 의료진을 포함해 의료지원시스템 전체가 부족해진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의료용 로봇 사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언스 로보틱스 제공
실제로 2015년 아프리카 일대에 에볼라가 확산될 당시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국(OSTP)과 국립과학재단(NSF)은 ▲원격진료나 오염 제거 같은 임상 ▲수송과 폐기물 운반 등 물류 ▲자발적 격리환자 관리와 같은 지원 3개 분야에 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지만 기술적 한계와 규모 등의 문제 때문에 투입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는 역학조사관과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로봇을 통한 건물이나 지역 방역, 공항·항만·건물 입구 등에서의 체열 감시 측정, 각종 의료 폐기물 처리, 격리환자 지원은 현재 로봇 기술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은 인공지능 기술과 로봇을 결합할 경우 감염 의심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도 보고 있다.

로봇 기술이 고도화되면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예정된 국제회의나 학술대회를 취소하지 않고 로봇 아바타와 제어장치를 통해 원격 참여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헨리크 크리스텐슨 UC샌디에이고대 교수는 “이번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은 감염병과 바이러스 같은 생물학, 의학 분야 연구뿐만 아니라 한발 앞선 로봇 시스템의 개발과 확산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로봇 분야 산학연 협력과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논의에 함께 참여한 하위 초셋 카네기멜런대 교수는 “의료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언어, 몸짓 등 사회적 행동을 통해 사람과 교감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셜로봇의 발전을 전제해야 한다”면서 “인간과의 상호작용은 개개인의 지식, 신념, 감정뿐만 아니라 문화적 특성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복잡한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쉬운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20-03-26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