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졸 1668만원 대졸 6040만원

초졸 1668만원 대졸 6040만원

입력 2013-01-10 00:00
업데이트 2013-01-10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력별 가구 소득 격차

교육의 양극화가 빈곤의 대물림으로 이어지는 것은 학력별 소득 격차에서도 나타난다.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 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주가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1668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가구주가 대졸 이상인 가구는 6040만원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가구주보다 소득이 3.62배 많았다. 가구주의 학력이 중졸인 경우는 3023만원, 고졸은 4064만원이다.

특히 가구주가 초등학교 이하 학력을 가진 경우 50%가 연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반면 가구주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는 51.7%가 5000만원 이상이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문제는 빈부의 격차가 교육 양극화로 나타나고 이것이 다시 소득 활동의 양극화로 이어지면서 빈곤의 악순환이 일어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 격차는 직업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비정규직노동센터가 학력별 비정규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학력의 취업자 중 85.7%(105만 2450명)가 비정규직이었다. 중졸자는 76.1%(103만 9429명), 고졸은 57.6%(395만 8432명)가 비정규직이었다. 반면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20.9%, 대졸자는 26%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 졸업자는 35.9%가 비정규직이다. 사업장 규모로 따져 보면 30인 미만의 영세 사업장의 비정규직 비율이 전체의 77.1%를 차지했다. 비정규직노동센터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상당수가 기업 규모가 영세한 사업장에 집중돼 각종 사회안전망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3-01-10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