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리스크·尹 패싱… 역린 건드린 김종인 ‘연기 발언’이 결별 결정타

李 리스크·尹 패싱… 역린 건드린 김종인 ‘연기 발언’이 결별 결정타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2-01-05 22:40
업데이트 2022-01-06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3일 만에 갈라선 윤석열·김종인
金 모든 메시지·일정 직접 관리
尹측 “대선 캠페인 기본 안 지켜”
이준석 이탈도 통제 못 해 불만
尹 상의 없이 쇄신안 일방 발표
金 합류 전 ‘윤핵관’ 갈등도 원인

이미지 확대
김종인 전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윤석열 대선후보의 선대위 해체 발표를 시청한 후 외부로 나서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김종인 전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윤석열 대선후보의 선대위 해체 발표를 시청한 후 외부로 나서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불안한 동거를 이어 오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5일 결국 결별했다. 선대위 합류부터 삐걱대던 이들은 33일 만에 갈라섰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김 전 위원장의 ‘연기’(演技) 발언이 결별의 결정타가 됐다는 얘기가 나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3일 의원총회에서 윤 후보를 향해 “우리가 해준 대로만 연기를 좀 해 달라”고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윤 후보 입장에서는 매우 모욕적으로 들릴 수 있는 말로 역린을 건드린 셈”이라며 “권력의 속성상 대권 후보가 공개적으로 상왕 노릇을 하는 사람과 같이 갈 수는 없는 법”이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이 지난 3일 윤 후보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선대위 전면 개편을 발표한 것도 후보로서는 용납하기 힘든 ‘질서문란’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윤 후보 측은 김 전 위원장이 2일 모든 메시지와 일정을 직접 관리하겠다고 나섰을 때부터 불만이 극에 달했다. 윤 후보 측 인사는 “김 위원장뿐 아니라 누구든 후보의 말을 바꾸거나, 입장을 선회하게 해서는 안 되는 게 대선 캠페인의 기본”이라며 “특히 정치신인에 대한 부정적 공세를 막아야지 내부에서 그걸 왜 자극하느냐”고 말했다.

이준석 대표와의 갈등도 주요 원인이다. 윤 후보는 지난달 21일 이 대표가 선대위를 이탈하자 김 전 위원장에게 일임했다. 그런데 김 전 위원장이 ‘이준석 리스크’를 통제하지 못하면서 윤 후보 측의 불만이 커졌다는 것이다.

특히 3일 김 전 위원장이 선대위 개편을 발표하면서 “후보와 상의할 필요 없다”, “이 대표를 만나볼 것”이라는 메시지가 나오자 윤 후보 측에서 ‘내통’이라는 표현까지 나왔다. 임태희 총괄상황본부장도 4일 기자들에게 “후보님과는 저기(상의)할 필요가 없고, 이 대표와 상의한다는 보도가 돼 윤 후보도 당황스러웠을 것”이라며 당시 상황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윤 후보는 김 전 위원장이 구상한 개편안이 홍보 관련 업무를 당 대표실 산하로 재편하고 2030선거 전략을 이 대표에게 맡기려는 쪽으로 흐르자 불만을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김 전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내가 대표를 감싼다는 이딴 소리를 윤씨, 윤석열 주변 사람들이 한 거 같다”며 “내가 뭐가 답답해서 이준석이하고 쿠데타할 생각을 하느냐”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이 선대위 합류 전부터 ‘파리떼’로 지칭했던 윤 후보 측근 문제가 정리되지 않은 것도 결별 요인으로 보인다. 김 전 위원장은 경선 캠프 때 윤 후보를 도왔던 중진들을 모두 쳐내고 선대위를 꾸리길 원했으나 윤 후보의 생각은 달랐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3일 울산회동 끝에 어정쩡한 합의로 선대위가 출범했고, 윤 후보와 김 전 위원장의 서로 다른 구상이 섞이면서 선대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애초부터 윤 후보가 김 전 위원장을 명실상부한 ‘원톱’으로 예우하며 선거 캠페인 전체를 일임했다면 파국은 없었을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윤 후보가 김 전 위원장에게 전권을 주지 않으려고 김병준·김한길씨를 동시에 영입하고 측근들에게도 권한을 주는 등 ‘분할통치’(divide and rule)를 한 게 화근의 씨앗이 됐다는 것이다. 결국 윤 후보의 전화 한 통으로 두 사람은 결별했다. 윤 후보는 오전 11시 당사 기자회견 직전인 10시 30분 김 전 위원장에게 전화로 감사를 표했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손지은 기자
2022-01-06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