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서 발 빼는 ‘플랜 다스의 계’… 시민 반발 쇄도

다스서 발 빼는 ‘플랜 다스의 계’… 시민 반발 쇄도

이하영 기자
입력 2018-01-26 23:04
업데이트 2018-01-27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재산…’ 다스 주식 매입 철회 의결

기재부 지분 매입 추진… 150억원 모금
이사회 “가격 하락땐 대여금 반환 어려워”
시민 계원 “투자 아닌 진실 밝히라 준 돈”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으로 의심받고 있는 자동차 부품 회사 다스의 주식을 매입해 실소유주를 규명하려던 시민운동 ‘플랜 다스의 계(plan Das의 契)가 분란에 휩싸였다. 이 운동을 통해 150억원을 모금한 국민재산되찾기운동본부가 다스 주식을 사지 않기로 의결하며 모금에 참여한 시민들을 중심으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계를 주도한 안원구 집행위원장이 크게 반발해 논란이 더욱 증폭되는 모양새다.

26일 국민재산되찾기운동본부에 따르면 본부 이사회는 전날 ‘모인 대여금으로 다스 주식을 매입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최근 이 전 대통령의 직권 남용·실소유주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가 집중되고 있는 다스의 주식을 샀다가 가격이 떨어지면 대여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안 집행위원장은 “촛불 정신을 폄훼하는 것”이라면서 “(주식을 사라는) 시민들의 뜻을 이사회가 대신 결정할 수는 없다”고 성토했다.

소식이 알려지자 본부 게시판에는 수천 개의 항의성 글이 쇄도하고 있다. 시민들은 “투자 돈이 아니라 진실을 밝히라고 준 돈이다”, “시민들의 뜻을 왜곡하는 이사회는 실체가 무엇이냐”, “있는 줄도 몰랐던 이사회가 무슨 권한이 있나”, “명단 공개하라”, “애초 휴지 조각 될 수 있는 것 모르고 산 사람 없다”며 이사회 의결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본부 측은 “이사회도 치열하게 고심한 끝에 내릴 결정”이라면서 “(이사회 의결을 놓고) 좀 더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플랜 다스의 계는 시민 대여금을 모아 다스의 3대 주주인 기획재정부가 매각하려는 5만 8800주 중 1만 주(지분율 3.39%·시가 약 145억원)를 매입하려는 프로젝트다. 상법상 소액주주가 지분 3% 이상 소유하면 회계장부 열람 등 주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30일 시작한 이 운동은 불과 3주 만에 3만 6477명이 참여해 150억 824만 2068원을 모금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8-01-27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