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가장 젊은 대한민국

오늘이 가장 젊은 대한민국

이현정 기자
이현정, 유승혁 기자
입력 2024-01-11 01:07
업데이트 2024-01-11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초고령 사회 진입
70세 이상 인구, 20대 첫 추월

인구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70세 이상 인구가 20대를 앞질렀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6세) 인구는 처음 40만명대가 붕괴됐고 17개 시도 중 8곳은 인구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격차는 70만명 이상 벌어져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극단적인 저출산에 ‘고령화시계’마저 빨라진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4년째 감소… 5000만명 붕괴 위기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12월 31일) 우리나라 인구는 5132만 5329명으로, 1년 전(5143만 9038명)보다 약 11만명(0.22%) 줄었다. 2019년(5185만명)을 정점으로 2020년부터 4년 연속 내리막길이다.

●고령층 23만 늘 때 20대 22만명 ‘뚝’

인구 구조도 격변하고 있다. 70세 이상 인구(631만 9402명)는 2022년보다 23만여명 불어났지만 20대 인구(619만 7486명)는 22만여명 줄어 처음 역전됐다. 불과 한 해 전만 해도 70세 이상 인구(608만여명)는 20대 인구(641만여명)를 밑돌았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인 생산가능인구의 축소도 심각하다. 25~49세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1790만여명으로 전년보다 1.45%(26만 3000여명) 줄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도 3593만여명으로 같은 기간 0.96%(35만여명)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가파른 상승세다. 2022년보다 46만여명(5%) 늘어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0%를 차지했다. 2022년 고령 인구 증가율이 전년 대비 4.7%였던 점을 감안하면 대한민국 사회가 초고령사회를 향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상황이다.

내년이면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유엔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고령 인구 비중은 2014년 12.7%, 2017년 14.2%, 2020년 16.4% 등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한국은 2082년 전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암울한 예측을 내놓았다.

이미 전남(26.1%), 경북(24.7%), 전북(24.1%), 강원(24.0%), 부산(22.6%), 충남(21.3%), 충북(20.9%), 경남(20.6%) 등 8곳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충북과 경남이 지난해 새로 초고령사회에 편입됐다. 고령 인구 비율이 고령사회(14%) 기준에 못 미치는 곳은 세종뿐이다. 서울도 고령 인구 비율이 18.5%로, 더는 ‘젊은 도시’가 아니다.

반면 해마다 출생아 수가 줄면서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6세 인구(36만 4740명)는 30만명대로 주저앉았다. 2022년(41만여명)보다 4만 8442명(11.7%) 줄었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다. 전국에서 지난해 신입생을 한 명도 받지 못한 초등학교는 145곳이었다.

정부가 인구분산과 균형발전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수도권 쏠림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2018년만 해도 비수도권(2603만) 인구가 수도권(2580만)보다 많았다. 하지만 2019년 수도권 인구가 2000명 추월한 이후 24만 8000명(2020년)→40만 8000명(2021년)→53만 1000명(2022년)→70만 3000명(2023년) 등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전체 국토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 절반이 넘는 2601만명(50.7%)이 몰려 있다. 서울에만 939만명(18.3%)이 산다. 5명 중 1명은 ‘서울 사람’이다.

1인가구 1000만명 시대도 코앞이다. 993만 5600가구(41.6%)가 혼자 살고 있고 2인가구(24.5%), 4인 이상 가구(17.1%), 3인가구(16.9%) 순으로 나타났다. 부부와 두 자녀로 구성된 전형적인 4인가구(314만 8835가구)는 2022년보다 10만 가구 이상 줄었다. 1인가구를 나이별로 보면 70세 이상이 19.7%로 가장 많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독거노인, 미혼 싱글 등이 갈수록 늘어 정부도 정책 대응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현정·유승혁 기자
2024-01-11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