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심층진료’ 환자만족 높이고 진료비는 낮추고

‘15분 심층진료’ 환자만족 높이고 진료비는 낮추고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4-30 18:02
업데이트 2018-04-30 1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 일반환자 비교 조사

심층진료군 진료 만족 92%
일반환자군보다 21%P 높아


심층진료로 검사 수, 약 처방 줄어
진료비도 일반보다 9.2% 적어


환자 진료시간을 15분으로 늘리는 ‘15분 심층진료’가 환자의 만족도는 높이면서 총진료비는 최대 22%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한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시범사업’에서 환자만족도, 진료 내용, 진료비, 회송률 등을 평가해 이 같은 효과를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심층진찰 시범사업은 환자 1명당 진료시간이 1~3분에 불과해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환자들의 불만을 감안해 도입한 사업이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심층진찰 시범사업에 참여한 274명과 대조군 1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진료시간에 만족하는 비율은 심층진료군이 92%(254명)로 대조군의 71%(99명)보다 21% 포인트 높았다. 외래진료 자체에 대한 만족도도 심층진료군이 10점 만점에 9.04점, 대조군이 7.65점으로 1.39점의 차이를 보였다.

총진료비도 줄었다. 급여, 비급여, 검사비, 약제비 등을 모두 포함했을 때 심층진료군의 총진료비는 평균 22만 521원으로 대조군보다 9.2% 적었다. 대조군의 총진료비는 24만 2862원이었다. 환자에 대해 깊이 있는 진료가 이뤄져 검사 수와 약 처방이 줄면서 진료비가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에서 반드시 진료해야 하는 중증질환자일수록 진료비 감소폭이 컸다. 중증질환자 심층진료군의 총 료비는 34만 1733원으로 대조군(43만 9166원)보다 22.2% 저렴했다. 다만 심층진찰료는 환자 본인부담액이 2만 3495원으로 일반진찰료(1만 8800원)보다 많다.

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의료보건사업단장은 “심층진료는 상급종합병원이 중증·희귀질환자에게 고도화된 진료를 집중하게 해 의료체계 정상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5-01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