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집값 9년만에 가장 많이 올라… 전셋값도 5년來 최대

작년 집값 9년만에 가장 많이 올라… 전셋값도 5년來 최대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1-01-05 21:56
업데이트 2021-01-06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값 지난달 0.9%↑… 연간 5.36% 상승
세종 37% 뛰어… 서울선 노원·구로구順

지난해 마지막 달까지 전국 집값이 고공행진을 이어 갔다. 연간으로는 5.36% 올라 9년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고, 전셋값도 5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5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1월 10일~12월 14일)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0.9% 상승해 2008년 6월(1.15%)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간으로는 2011년(6.14%)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지난해 전국 집값은 7월 0.61%로 정점을 찍고 정부 규제 등의 영향으로 8∼10월 0.47%, 0.42%, 0.32%로 3개월 연속 상승폭을 줄였다. 그러나 하반기 전세 시장 불안 등의 영향으로 11월 0.54%, 12월 0.90%로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값이 7.57%로 가장 많이 올랐고, 단독은 2.50%, 연립은 1.16% 각각 상승했다. 아파트는 9년 만에, 연립은 5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집값이 지난해 2.67% 뛰어 2018년(6.22%) 이후 최고로 올랐다. 2019년 서울 집값은 1.25% 상승했다. 서울에서는 노원구(4.74%)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구로구(3.61%), 동대문구 (3.59%), 강북구(3.49%) 순이었다. 지방에서는 수도 이전 논의가 있었던 세종시가 37.05% 상승하며 가장 크게 뛰었다.

전세가격은 지난 한 해 4.61% 올라 2015년(4.85%)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은 상반기까지 0.09∼0.28%의 상승률을 유지하다 주택 임대차 보호법이 추진·시행된 7월 0.32%, 8월 0.44%로 각각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0.53%→0.63%)을 포함한 수도권(0.74%→0.89%)의 전셋값이 전체적으로 올랐고, 지방(0.58%→1.03%)은 전달 대비 2배 이상 상승폭을 키우며 전세난이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21-01-06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