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美 승인만 남았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美 승인만 남았다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4-02-14 02:49
업데이트 2024-02-14 07: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U집행위 기업결합 조건부 승인

아시아나 화물 부문 매각도 속도
독과점 해소안 등 美 법무부 설득


이미지 확대
대한항공 여객기. 서울신문DB
대한항공 여객기. 서울신문DB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인 EU집행위원회(EC)가 13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의 기업결합을 승인했다.

EC는 대한항공에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부문 매각과 유럽 4개 도시 노선의 운수권 및 슬롯(공항 이착륙 횟수) 일부 이전 등을 전제로 기업결합을 심사한 결과 조건부 승인을 결정했다.

앞서 EC가 화물사업 등 독점 우려를 해소할 방안을 제출해 줄 것을 요구하자 대한항공은 지난해 말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 매각, 유럽 4개 도시 노선 운수권 및 슬롯 이양 등의 조치를 담은 시정조치안을 제출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유럽 노선 항공화물 점유율은 각각 54.0%, 26.8%로 합계 점유율이 80%에 이른다.

EC의 조건부 승인에 따라 대한항공은 EC의 최종 승인 여부가 판가름 나는 올해 말 이전에 유럽 노선 일부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에 이관하는 등 경쟁 제한 우려 해소 조치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또 아시아나항공의 화물 부문 매각 작업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EC의 승인에 화물 부문 매각 인수 후보자를 내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제주항공을 비롯해 에어프레미아, 에어인천, 이스타항공 등 국내 LCC에 인수의향을 타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EU의 최종 승인까지 받게 되면 초대형국적항공사(메가 캐리어) 탄생을 위한 기업결합은 미국의 승인만 남겨놓게 됐다. 대한항공은 2021년 1월 기업결합을 신고한 14개 ‘필수 신고국’ 중 미국을 제외한 13개국의 승인을 받았다.

다만 미국이 어떤 입장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미 법무부가 경쟁 제한을 이유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막기 위한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는 현지 매체의 보도가 나온 바 있고 아시아나항공과 공동 운항해 온 유나이티드항공은 노선의 경쟁력 악화를 우려해 결합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에어프레미아에 자사가 보유한 비행기는 물론 조종사와 승무원 등을 모두 넘겨 독과점 우려를 해소하겠다며 미 법무부를 설득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올 6월말까지 승인을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다.
이제훈 전문기자
2024-02-14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