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시장 ‘프리보드’ 전면 개편… 활로 찾을까

장외시장 ‘프리보드’ 전면 개편… 활로 찾을까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5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에셋생보·산은캐피탈 등 우량 비상장주식도 거래 가능

금융위원회가 미래에셋생명보험과 산은캐피탈 등 우량 비상장사 주식이 거래될 수 있도록 제도권 장외시장인 ‘프리보드’(비상장주식 거래 시스템)를 개편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오는 7월부터 프리보드를 제1부와 제2부로 나눠 사실상 모든 비상장주식의 거래가 가능한 인프라로 개편하겠다고 14일 밝혔다. 프리보드 제1부에서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거나 금융투자협회가 정한 공시의무 등을 준수하는 비상장법인 주식이 거래된다.

금융당국은 프리보드 제1부의 진입과 공시 요건을 기존 프리보드보다 강화하고 제1부를 통한 비상장 중견기업과 대기업 주식 거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기존 프리보드에는 주식 유통에 필요한 요건만 갖추면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었다. 기본적 재무 요건을 심사하지 않다 보니 부실기업의 진입을 제한하기 어려웠다. 앞으로는 제1부에 진입하려면 주권 모집과 매출 실적이 있어야 한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해 5월 기준으로 미래에셋생명보험과 산은캐피탈, 팬택, 삼성메디슨 등 90개 기업이 이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프리보드 제2부는 모든 비상장법인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단순거래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제2부 기업은 공시 의무가 없고, 주식 유통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만 충족하면 된다. 프리보드 제2부에 들어올 수 있는 기업은 지난해 9월 기준 1478개 기업으로 추정된다.

프리보드는 2005년 코스닥 상장 전 단계인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고자 개설됐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가 열리면서 역할이 모호해졌다. 2010년 프리보드 거래기업 수는 71곳이었지만 지난해 52곳으로 줄었다. 일 평균 거래대금도 2010년 2억 3000만원에서 지난해 1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4-01-15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