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더치페이, 더티페이/김성곤 논설위원

[길섶에서] 더치페이, 더티페이/김성곤 논설위원

김성곤 기자
입력 2018-02-28 22:08
업데이트 2018-02-28 2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점심을 먹고 계산을 하려는데 젊은이들이 카드를 든 채 줄을 서 있다. 요즘은 일상화된 ‘더치페이’다.

문득 얼마 전 모임에서 들은 얘기가 떠올랐다. “피곤한데 영업이 끝나면 맥주나 피자를 먹으러 가자고 해 놓고 계산은 매번 더치페이예요. 시급 7500원짜리 아르바이트 직원의 사정을 모르나 봐요. 안 갈 수도 없고….” 대학 입학을 앞두고 동네 프랜차이즈 치킨집에서 일하는 지인의 아들 얘기다. 점장이 데리고 간 볼링도 더치페이란다. 내기를 해 아르바이트 직원이 게임비로 몇만 원을 낸 경우도 있단다. 이쯤 되면 더치페이가 아닌 ‘더티 페이’(Dirty Pay)다.

더치페이는 원래 대접한다는 의미의 ‘더치 트리트’(Dutch Treat)였다. 그런데 식민지를 놓고 경쟁하던 영국이 네덜란드 문화를 비하하려고 ‘Treat’를 ‘Pay’로 바꾸면서 더치페이가 돼 우리에게 전해졌다. 그 매니저와 점장은 아르바이트 직원에게 경험도 전하고, 친목도 다지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 하지만 그 대상이 시급에 목매는 아르바이트생이라는 점은 헤아리지 못한 것 같아 뒷맛이 씁쓸했다.

김성곤 논설위원 sunggone@seoul.co.kr
2018-03-01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