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 전쟁 끝나면…‘나토와 전쟁’ 준비할 것”

“러시아, 우크라 전쟁 끝나면…‘나토와 전쟁’ 준비할 것”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4-02-14 17:47
업데이트 2024-02-14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스토니아 대외정보국장
“러시아-나토 전쟁 10년 안에 발발”
발트해·핀란드 지역 긴장 높아질 듯

이미지 확대
2022년 러시아의 점령으로 폐허가 된 마리우폴. AP 연합뉴스
2022년 러시아의 점령으로 폐허가 된 마리우폴. AP 연합뉴스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간 전쟁이 향후 10년 안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당국자의 발언이 나왔다.

14일(한국시간) 영국 스카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카우포 로신 에스토니아 대외정보국장은 이날 러시아 정부가 향후 10년 안에 나토와 전쟁을 벌일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발트해 국가와 핀란드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로신 정보국장은 “러시아가 현재는 나토와 관련된 어떤 군사적 행동도 하지 않겠지만 내부적으로는 향후 10년 안에 전쟁이 발생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러시아 군 개혁이 발트해 국가와 핀란드로 이어지는 나토 동부 국경지대 주둔 병력의 실질적인 증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면서 러시아의 병력 증원 규모가 두배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 러시아 장갑차와 탱크, 포병부대도 수년 안에 발트해 국가와 핀란드 국경 지역에 배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스토니아 정보부는 나토 동부 국경지대에 2~3개의 러시아의 기동부대가 배치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승리하면 또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는 “나토는 러시아와 전쟁을 바라지 않지만, 수십 년간 계속될 수 있는 충돌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프 호이스겐 뮌헨안보회의(MSC) 의장도 같은 날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패배하지 않는다면 몰도바나 발트해 연안 국가들에도 손을 뻗는다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군 흑해 함대 소속 병사가 방공 무기를 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러시아군 흑해 함대 소속 병사가 방공 무기를 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러시아 “우크라 휴전 제안…미국에 거부당했다” 주장
이런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연말 미국 정부에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논의를 비공식적으로 제안했으나, 미국이 거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러시아 측은 미국 정부가 거절한 데에 크게 실망하고 전쟁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로이터 등 외신은 지난해 푸틴 대통령이 중동 동맹국 등을 통해 미국 정부에게 우크라이나와의 휴전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참여하지 않는 휴전 논의는 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소식통들은 올해 1월에도 푸틴 대통령의 제안이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CIA) 국장,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 등 미국 고위당국자들에게 전달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러시아 측 고위급 소식통은 설리번이 ”미국은 당사자인 우크라이나 없이 휴전을 논의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미국 폭스뉴스 앵커 출신 터커 칼슨은 8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터커칼슨닷컴 캡처
미국 폭스뉴스 앵커 출신 터커 칼슨은 8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터커칼슨닷컴 캡처
한편 미국 측은 러시아와의 물밑논의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미국 측 소식통은 러시아 내에서 비공식적인 대화가 있었을지는 모르지만 미국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이번달 24일에 만 2년이 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종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러시아 측 인사는 “크렘린궁(러시아)은 이 문제(휴전)에 관해 미국과 더는 접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