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00,000,000,000’ 애플 시총 신기록

‘$ 2,500,000,000,000’ 애플 시총 신기록

이지운 기자
입력 2021-08-31 22:00
업데이트 2021-09-01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애플스토어 AP 연합뉴스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애플스토어
AP 연합뉴스
애플의 시가총액이 2조 5000억 달러(약 2900조원)를 돌파했다. 지난해 8월 미국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시총 2조 달러를 넘어선 지 1년여 만이다. 글로벌 기업 중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2019년 상장 직후 장중 시총 2조 달러를 넘어선 적이 있다.

●아이폰13 ‘위성통신 기능’ 보도 호재

애플 주가는 3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전장보다 3.04%(4.52달러) 오른 153.12달러에 거래를 마치면서 시총 2조 5000억 달러 고지를 넘어섰는데, 차기 프리미엄폰 ‘아이폰13’에 위성통신 기능이 탑재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큰 보탬이 됐다. 애플과 협력할 것으로 전망된 저 궤도(LEO) 인공위성 업체 글로벌스타의 주가도 장중 한때 44%까지 상승했다.

일각에서는 수익성 개선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도 보고 있다. 애플 앱스토어, 애플 뮤직, 애플TV 등 애플 서비스 부문은 지난 2분기 매출총이익률이 70%를 웃돌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올해 주당순이익(EPS) 예상치는 지난해 3.3달러보다 58% 많은 5.2달러로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애플의 주식 가치가 주기적으로 재평가돼 왔다는 점에서 이 시기가 다시 찾아온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2분기 수익성 개선도 주가 반영된 듯

애플은 1976년 스티브 잡스가 창업한 뒤 1980년 주당 22달러에 상장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 밀려 PC시장 점유율이 하락하면서 1997년에는 1달러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01년 MP3 플레이어 아이팟, 2006년 개인용 노트북 PC 맥북, 2007년 아이폰 등 신제품이 잇따라 히트를 치며 주가가 본격적으로 상승했다. 2000년 4달러였던 애플 주가는 2008년 100달러, 10년 만인 2017년에 200달러로 상승했다.
이지운 전문기자 jj@seoul.co.kr
2021-09-01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