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의 대명사’ 제주 올레 서울센터, 서울숲에 생긴다

‘치유의 대명사’ 제주 올레 서울센터, 서울숲에 생긴다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2-14 15:16
업데이트 2024-02-14 15: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월 마련… 매월 둘째주 목요일 걷기학교 개념 프로그램 운영
제주올레 완주자 90%“완주 후 신체·사회적 건강이 좋아졌다”
2월 현재 누적 완주자는 2만 2737명…매월 400~500명 완주

이미지 확대
(사)제주올레 제공
(사)제주올레 제공
제주올레 서울센터가 서울 성수동 서울숲에 생긴다.

(사)제주올레는 서울의 역동적인 문화공간 명소로 꼽히는 서울 성수동 서울숲 내 언더스탠드에비뉴에 서울센터를 새달 마련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제주올레 서울센터는 새달 3월부터 매월 둘째 주 목요일(3~6월, 9~10월, 12월)마다 걷기학교 개념인 ‘지금 올레’ 정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제주올레 관계자는 “제주올레 후원자가 이곳 공간을 마련해줘서 제주올레를 걷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주까지 오지 않아도 걷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걷기에 관심있는 사람이면 오는 20일부터 누구나 신청접수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지금 올레’는 제주올레 서명숙 이사장, 안은주 대표 이사 등의 걷기 특강과 야외 교육(서울숲 걷기)으로 이루어지며 제주올레 길을 걷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참가비는 1만원. 자세한 사항은 추후 제주올레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또한 (사)제주올레는 제주올레 완주자 2000명(2023.6~12 기간 완주자)을 대상으로 대한보건협회, 한국환경건강연구소와 공동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올레길 완주 후 대부분이 “건강이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특히 재완주에 도전하려는 이유는 ‘다른 어떤 걷기 활동보다 올레길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해지기 때문이다(59.8%)’ 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정신적 건강 개선(55.5%), 신체적 건강 개선(47%)이 뒤를 이었다. 정신적 건강에 대해서는 완주자 97.2%“좋아졌다”고 느꼈으며 약 90%가 “올레길 완주 후 신체적, 사회적 건강이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실제 많은 응답자들이 “체력(지구력, 근력)이 좋아졌다”(71.7%)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체중이 감소한 경험(44.7%)도 높게 나타났으며 폐활량 증가, 수면장애 개선, 허리 및 관절 통증 감소, 변비 감소, 장 건강 등 일상에서 느꼈던 신체적 불편함이 호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사)제주올레 제공
(사)제주올레 제공
이와 함께 2022년부터 CEO 및 고위 관리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제주올레 길 위의 리더십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사)제주올레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전문 경영 지도자들이 느끼는 업무적 긴장감과 압박감을 자연 속에서 해소하고, 조직과 사회로 돌아가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경험하게 한다. 현재까지 경영자, 변호사, 협회장 및 배우 고두심 씨와 문소리씨, 요리사 이연복 씨와 허영만 작가 등 각계 다양한 분야의 지도자와 명사 54명이 참여한 바 있다.

제주올레 리더십 과정에 여러차례 참여한 옥타솔루션 박만성 대표는 “업무적 긴장감과 압박감을 올레길을 걸으며 해소할 수 있었다. 제주올레 길을 걷는 행위가 곧 치유다”라고 말했다.

(사)제주올레 안은주 대표는 “이번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걷기의 힘을 다시 한번 느꼈다. 완주자들이 긍정적으로 경험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변화가 일상에서 지속될 수 있게 다양한 올레길 프로그램을 기획해 더욱 가깝게 찾아가는 제주올레가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올레 27개 코스 437㎞ 완주자는 매월 400~500명 정도이며, 2024년 현재까지 누적된 완주자는 2만 2737명(2024년 2월 4일 기준)에 이른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