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탄생 임박한 ‘공룡 조선사’…현대重-대우조선 인수 막판 쟁점은

탄생 임박한 ‘공룡 조선사’…현대重-대우조선 인수 막판 쟁점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6-19 07:00
업데이트 2021-06-19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조선해양 1만 3800TEU급 컨테이너선
한국조선해양 1만 3800TEU급 컨테이너선
세계 1, 2위 조선사 합병이 임박했지만, 곳곳에서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이미 2년을 훌쩍 지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의 기업결합 승인 지연으로 올 상반기도 어려울 거란 전망이다. 독과점과 재벌 특혜 논란을 꾸준히 지적하는 시민사회 목소리도 부담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대우조선해양을 온전히 품을 수 있을까.

가스선 독과점 어떻게 해소할까

1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합병의 가장 큰 쟁점은 가스선 독과점에 따른 ‘조건부 승인’ 여부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이 합병되면 글로벌 조선시장에서 가스선 점유율이 60% 이상으로 올라간다.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등이 신조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점유율에 유럽 선주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두 회사의 가스선 점유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합병 승인이 이뤄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다양하다. 일부 가스선 도크를 폐쇄해 생산 능력을 축소하거나, 가스선 사업부를 분리매각 하는 방안 또는 STX조선 등 국내 중소형 조선사로 기술 이전 가능성도 제기된다.

노조,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현대중공업 정몽준 일가 등 재벌에 대한 특혜 논란 및 헐값 매각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을 인수한 뒤 정상화를 위해 투입한 자금이 7조원을 넘어서지만, 매각으로 얻는 뚜렷한 이익이 없다. 오히려 현대중공업은 지분 교환과 유상증자 등으로 그리 크지 않은 금액(약 6500억원)을 들여 대우조선을 인수하고 3세 정기선 부사장으로의 승계 구도를 탄탄히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금속노조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김남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부회장은 “조선업을 둘러싼 시장상황이 충분히 좋아지고 있고, 대우조선이 자력으로 일어설 수 있다”면서 “그런데도 무조건 매각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우조선 위해선 인수 불확실성 해소돼야”

현대중공업과의 거래를 주도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최근 이런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대우조선 민영화 거래조건은 시장가격에 따른 교환비율로 공정한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우조선은 아직 부실기업으로 내년 이자율이 정상화하면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면서 “구조조정이 지연되면 그 비용이 국가경제로 확산하는 악순환이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최근 국내 한 언론이 EU 경쟁당국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기업결합이 상반기 내 결정되기 힘들 것”이라고 보도한 데 대해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상반기 내 마무리하겠다는) 기존 입장에서 변화한 것 없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올 상반기 내 모든 것(대우조선 인수 관련)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차일피일 기업결합이 늦춰지는 사이 대우조선의 수주 경쟁력 약화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조선업계가 ‘슈퍼사이클’(대호황) 초입에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현재까지 올해 수주 목표치의 60~70% 수주율을 달성하며 치고 나가고 있지만, 대우조선은 절반에 못 미친 48.3%를 달성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인수될 기업이라는 꼬리표 때문에 대우조선의 수주 경쟁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얼른 인수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