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여론조사-표심의 특징] 朴대통령 지지도 PK가 TK 앞서… 인사편중 ‘보은의 지지’ 보낸 듯

[신년 여론조사-표심의 특징] 朴대통령 지지도 PK가 TK 앞서… 인사편중 ‘보은의 지지’ 보낸 듯

입력 2014-01-01 00:00
업데이트 2014-01-01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수행 권역별 지지도 조사해 보니

박근혜 대통령의 최대 지지기반이 대구·경북(TK)이 아니라 부산·울산·경남(PK)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인사 편중’ 논란이 제기될 만큼 PK 인사들이 집중 기용된 데 대한 ‘보은의 지지’가 아니냐는 분석도 가능하다. 역설적으로 인사편중 논란도 지역 민심을 결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이는 TK 또는 호남 ‘홀대론’이 고개를 들 수 있는 대목이라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권역별 지지도는 PK 지역이 73.7%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전국 평균 지지도(53.7%)보다 무려 20.0% 포인트가 높은 것일 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TK 지역의 지지도(64.9%)를 8.8% 포인트 앞지른 것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역시 PK(22.8%)가 TK(31.2%)에 비해 훨씬 적었다.

PK와 TK에 이은 권역별 국정 수행 지지도는 강원·제주 58.4%, 대전·충청 56.8%, 인천·경기 52.9%, 서울 45.3%, 광주·전라 23.5% 등의 순이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임기 첫해 인사가 PK 지역에 쏠렸다는 지적과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국정 운영의 양대 축인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각각 경남 하동과 거제 출신이다. 황찬현 감사원장과 김진태 검찰총장 등 5대 권력기관장 가운데 2명이 PK 출신이다. 행정부 외에 사법부 수장인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의 고향도 부산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는 물론 5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우선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PK 지역 응답자의 52.9%는 여권이 내세우는 ‘국정안정론’을 꼽았다. 국정안정론을 선택한 권역별 응답자 비율이 50%를 넘은 곳은 PK가 유일했다. 대구·경북 48.3%, 강원·제주 48.1%, 서울 45.0%, 인천·경기 44.1%, 대전·충청 34.1%, 광주·전라 29.5% 등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가 야권이 주장하는 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론’에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PK(34.0%)가 TK(32.0%)보다 약간 높았다. PK 출신인 민주당 문재인 의원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지지층이 TK보다는 PK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두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4-01-01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