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첫 국회의장 추미애 ‘대세론’

22대 첫 국회의장 추미애 ‘대세론’

김주환 기자
김주환 기자
입력 2024-05-13 00:37
업데이트 2024-05-13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정식 ‘다선·연장자’ 단일화 합의
정성호 사퇴… 우원식은 완주 뜻

이미지 확대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나섰던 조정식(왼쪽) 의원과 6선이 되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추 전 장관으로 후보 단일화를 합의한 가운데, 관련 논의를 위해 두 사람이 12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만나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나섰던 조정식(왼쪽) 의원과 6선이 되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추 전 장관으로 후보 단일화를 합의한 가운데, 관련 논의를 위해 두 사람이 12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만나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뽑는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12일 6선이 되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5선에 성공한 우원식 의원 간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 이날 강력한 경쟁자인 조정식 의원이 추 전 장관과의 단일화에 합의해 사퇴했고,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도 사퇴했다. ‘추미애 국회의장’이 대세론으로 떠올랐다.

당내 최다선인 추 전 장관과 조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추 전 장관으로의 단일화에 합의했다. 두 사람은 4개 항으로 구성한 단일화 합의문에서 “국민과 당원이 바라는 개혁 국회 구성을 위해 국회의장 선출에 있어 경쟁보다 순리에 따라 최다선 중 연장자인 추미애 후보를 단일 후보로 추대한다”고 밝혔다. 선수와 나이를 존중하는 기존 관행을 따랐다는 뜻이다.

추 전 장관은 “두 사람이 힘을 합쳐서 앞으로 다음 국회를 ‘개혁 국회’로 만들어 내고 민생을 되찾는 국회를 만들어 내겠다고 뜻을 모았다”며 “오늘 후보를 사퇴하고 지지를 표명해 주신 데 대해 무한한 신뢰와 감사 말씀 드린다”고 화답했다.

조 의원은 사퇴 입장문을 내고 “총선 민심을 실현하는 개혁 국회를 위한 마중물이 되고자 후보를 사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양측이 ‘최다선 국회의장 관례’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조 의원이 전반기 의장을 양보하는 대신 후반기 의장을 맡는다는 암묵적 합의가 있지 않았겠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날 자리에 배석한 김병기 의원은 ‘회동에서 후반기 의장 얘기도 있었느냐’는 질문에 “귀가 잘 안 들린다”며 웃어넘겼다.

앞서 5선이 되는 정 의원도 후보 사퇴 입장문에서 “그간 성심껏 돕고 지지해 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고 죄송하다”며 “민주당의 승리와 정권 교체를 위해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5선이 되는 우 의원은 경선을 완주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입장문에서 “선수는 단지 관례일 뿐”이라며 “지금 중요한 것은 성과를 내는 국회를 만들 적임자(를 찾는 것)”라고 했다. 이어 “자리를 나누듯이 단일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참으로 유감”이라며 “22대 당선인들의 현명한 판단을 믿고 뚜벅뚜벅 가겠다”고 했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직접 나서 ‘교통정리를 했다’는 전언도 나왔다. 소위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이 추 전 장관에게 기울었다는 해석이다. 이 대표를 지지하는 강성 당원들이 이 대표와 경쟁할 대권 잠룡인 추 전 장관에게 높은 지지를 보내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있다.

선수나 나이 등으로 국회의장을 정하는 관례에서 벗어나 공약과 인물로 뽑기 위해 국회의장 결선투표제를 도입했는데,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결선투표를 둔 이유가 무엇인가. 다양한 후보가 경쟁하다가 최종적으로 결선을 통해 의원 지지를 확보하자고 결선투표를 하려고 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주환 기자
2024-05-13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