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16%는 ‘이직 의향’…대부분 돈 때문

공무원 16%는 ‘이직 의향’…대부분 돈 때문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5 0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직시 기대보수 현재의 143%…공무원 46% “직업에 대해 만족”

공무원의 16.3%는 이직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89.4%는 이직을 희망하는 이유로 보수를 꼽았으며, 이직시 기대보수는 현재의 142.7%라고 답했다.

안전행정부는 32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소속 3∼9급 일반직 공무원 1천53명을 상대로 작년 10월 14∼31일 공무원 보수격차에 대한 인식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안행부 관계자는 “민간과 공무원간 보수격차가 좁혀지고 있지 않은 가운데, 이에 대한 인식조사를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직 시 기대보수 수준을 통해 공무원 보수의 하한선을 간접적으로 구해본 게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사결과, 공무원들은 학력과 연령, 경력이 비슷한 민간기업 사무직 종사자와 비교했을 때 자신의 보수를 72.1% 정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민관보수수준 분석결과, 일반직 공무원의 보수가 100인 이상 사업체 평균임금의 77.6%로 조사된 데 비하면, 실제 임금수준보다 보수가 더 낮다는 생각이 강했다.

공무원들은 직업 지속성과 사회적 기여도, 시간적 여유 등의 경우 민간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낫지만, 보수나 발전가능성, 업무환경은 민간기업보다 열악하다고 인식했다.

민간기업으로 이직할 의향이 있는 공무원은 전체의 16.3%로 집계됐다. 이직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60.3%로 훨씬 많았다. 나머지 23.4%는 ‘반반’이라고 답했다.

이직 의향이 있는 172명에게 그 이유를 2가지씩 꼽으라고 한 결과 89.4%는 보수라고 답했고, 40.9%는 발전가능성, 34.1%는 업무환경과 시간적 여유, 21.3%는 조직문화를 선택했다.

남성이면서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300만원 미만의 계층은 이직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50대 이상·고졸 이하·읍면동 소속·근무경력 30년 이상·기능직·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계층은 이직 의향이 없었다.

이직 의향이 있는 공무원들은 이직시 1∼100순위 기업으로 옮기고 싶어했으며, 21.5%는 부장 이상 직급을 원했다.

이직 의향이 있는 공무원들의 민간기업 이직시 희망 보수수준은 현 보수대비 평균 142.7%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은 135.3%였다.

공무원들의 직업만족도를 보면 보수에 대해 77.4%가 ‘적다’고 응답했고, 51.9%는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가 성과에 비해 낮다고 여겼으며, 54.9%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에 대해서는 ‘좋다’가 34.8%, ‘좋지않다’가 31.8%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비율은 45.9%로 불만족 11.8%에 비해 높았다.

주상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무원들은 보수나 성과평가에 대해서는 불만이 크지만, 자부심과 사회적 평가 때문에 공무원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면서 “다만, 20대 여성 공무원은 직업가치나 만족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