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꺾은 우원식… ‘明心’ 뒤집혔다

추미애 꺾은 우원식… ‘明心’ 뒤집혔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손지은 기자
입력 2024-05-17 02:57
업데이트 2024-05-17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원식 “국회의장은 단순 중재자 아니다”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출
우, ‘어의추’ 뒤집고 9표 차 승리
‘합리적 행동파’로 협치 가능성도
민주 몫 국회부의장 후보에 이학영


이미지 확대
우원식 의원. 연합뉴스
우원식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5선이 되는 우원식(67·서울 노원갑) 의원을 선출했다. ‘어의추’(어차피 의장은 추미애 당선인)라던 당내 정서를 뒤집는 이변을 일으킨 우 의원은 다음달 5일 열리는 민주당이 과반인 22대 국회의 첫 본회의에서 표결로 의장에 오른다. 우 의원도 친명(친이재명)계이자 국회의장의 기계적 중립을 거부했다는 점에서 민주당의 입법 독주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정치권에선 ‘강성 매파’인 추 당선인과 비교하면 여당에 다소나마 숨통이 트였다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이 16일 개최한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당선자총회’에서 무기명 투표 결과 우 의원이 추 당선인을 눌렀다. 22대 국회 당선인 171명 중 169명이 참여했고, 우 의원은 89표를 얻어 80표를 얻은 추 당선인을 이긴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몫의 국회부의장 후보에는 4선이 되는 이학영(72·경기 군포) 의원이 민홍철·남인순 의원을 제치고 선출됐다.

우 의원은 수락 인사에서 “중립은 몰가치가 아니고 국민 삶을 편안하게 만들고 국민 권리를 향상해 나갈 때 가치 있는 일”이라며 “여야 간 협상을 존중하지만 국민의 이익과 권리를 지키지 못한다면 국회법에 따라 의장의 권한을 최대한 살려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국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는 기자들에게 “양당 협의 과정에 중재자로서 참여하게 될 건데, 단순 중재자가 아니라 국회의장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국회의장 경선에는 당초 5선이 되는 우 의원과 정성호 의원, 6선이 되는 추 당선인과 조정식 의원 등 4명이 나섰지만 선수와 연장자 관례에 따라 조 의원은 추 당선인으로 후보를 단일화했고 정 의원은 사퇴했다. 이에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이 쏠린 추 당선인의 선출이 유력하다는 전망이었지만, 우 의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명심 논란이 많았는데 내부에선 그렇지 않았다. 이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간 추 당선인과 선명성 경쟁을 벌이며 ‘진짜 친명계’임을 강조한 우 의원은 향후 국회의장으로서 개헌을 추진해 대통령 4년 중임제, 감사원의 국회 이전, 의회의 실질적 권한 강화 등을 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더해 우 의원이 김건희 여사 특검법, 채 상병 특검법 등 민주당이 추진하는 각종 법안 처리에 힘을 보태면서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가능성과 맞물려 공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우 의원에게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 민의와 민심을 중심에 두고 국회를 운영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고, 우 의원은 “우리 모두 민주당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이 대표를 중심으로 저도 맡겨진 업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우 의원이 추 당선인보다 ‘합리적 행동파’라는 당내 분석도 있다. 우 의원은 “국회는 대화하는 기류가 중요하다. 여야 간 협상과 협의를 존중할 것”이라고 했다. 여야 대치 심화로 정국이 경색될 때만 개입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민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우 의원 선출에 대해 “방탄 국회로 전락시킨다면 민심 역풍에 직면할 것”이라며 “축하를 전하면서도 한편으론 우려가 앞선다. 선출 과정에서 보인 ‘명심팔이’ 경쟁에서 국익과 민생에 대한 걱정보다 국회를 이재명 대표의 방탄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더 커 보였다”고 비판했다.
하종훈·손지은 기자
2024-05-17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