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승리 확정 순간 적막 흘러… 허 찔린 明心에 민주 ‘당혹’ [뉴스 분석]

우원식 승리 확정 순간 적막 흘러… 허 찔린 明心에 민주 ‘당혹’ [뉴스 분석]

하종훈 기자
하종훈, 이범수, 김주환 기자
입력 2024-05-17 02:58
업데이트 2024-05-17 0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의장 후보 대이변 후폭풍

1인 체제 강화에 반감 반영된 듯
사실상 낙점 모양새가 ‘惡手’로
秋의 ‘독단적 행동’도 신뢰 잃어
이재명은 “이게 당심” 진화 나서

무기명에 총선 끝나 ‘소신 투표’
우원식 ‘폭넓은 스킨십’도 한몫


이미지 확대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총회에서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원식(왼쪽 두 번째) 의원이 이재명(오른쪽 두 번째) 대표에게서 꽃다발을 받고 있다. 맨 왼쪽부터 추미애 당선인, 우 의원, 이 대표, 국회부의장 후보로 선출된 이학영 의원. 홍윤기 기자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총회에서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원식(왼쪽 두 번째) 의원이 이재명(오른쪽 두 번째) 대표에게서 꽃다발을 받고 있다. 맨 왼쪽부터 추미애 당선인, 우 의원, 이 대표, 국회부의장 후보로 선출된 이학영 의원.
홍윤기 기자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추미애 대세론’을 꺾고 사실상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에 오르자 추 당선인에 대한 당내 반감과 무용론, 국회의장 교통정리에 따른 당내 반발, 무기명 투표에 따른 소신 반영 등이 이유로 꼽혔다. 이재명 대표는 “이게 당심”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소위 ‘명심’(이 대표 의중)이 흔들렸다는 분석이 잇따랐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의 국회의장 후보 경선 뒤 기자들을 만나 의외의 승리라는 평가에 “당선자들이 판단한 것이니 이 결과가 당심이라고 봐야 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이어 “저도 (다른 당선인들과 같은) 한 표”라고 했다.

이날 승리한 우 의원 역시 ‘진짜 친명’(친이재명) 전략을 내세웠지만 박찬대 원내대표가 사전에 추 당선인 쪽으로 교통정리를 했다는 전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추미애 대세론이 꺾인 것은 곧 친명 견제 심리로 분석되는 분위기다. 이른바 ‘이재명 일극체제’ 강화에 대한 반감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우 의원도 이날 기자들이 승리 원인을 묻자 “출마하면 후보들이 끝까지 경쟁하는 것이 우리가 아는 여의도 문법인데 갑자기 (추 의원으로) 단일화하니까 ‘이게 뭐지’라는 생각을 의원이나 당선인들이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의원도 “의전 서열 2위인 국회의장을 사실상 임명하다시피 하는 모습은 국회의원으로선 자존심 상하는 일”이라고 했다.

추 당선인 개인의 인기도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 의원은 “추 당선인은 (법무부 장관 시절) 이미 윤석열 대통령과 싸웠던 사람인데 잘 싸우지는 않았다. 우리는 싸워서 이길 만한 사람이 필요하다”고 했다. 다른 의원은 “초선들은 명심에 영향받아 추 당선인을 뽑을지 몰라도 재선 이상에서는 신뢰할 수 없다는 정서가 만만치 않다”고 했다. 추 당선인의 좌고우면하지 않는 선명한 행보는 ‘추다르크’(추미애+잔다르크)라는 별명을 안겨 줬지만, ‘독불장군’이라는 비판도 불러왔다.

무기명 투표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 한 수도권 출신 의원은 “총선이 끝나 공천 걱정도 덜게 된 상태에서 조직적 투표가 힘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소신껏 투표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추 당선인은 여론전으로 강성 당원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투표권은 당원이 아닌 의원에게 있다는 점에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우 의원은 의원들을 직접 만나며 폭넓은 스킨십을 보였다.

당내에선 당혹스러운 기류가 읽힌다. 이날 국회 회의장에서는 예상을 깬 결과가 나오자 일순 적막이 흘렀다. 당선 소감을 전후해 짧은 박수만 두 차례 나왔고, 일부 의원들은 놀란 표정으로 서로 얼굴을 마주 보기도 했다. 우 의원은 담담한 모습으로 꽃다발을 받았다. 한 지도부 인사는 “추 당선인이 초선에게선 7대3 비율로 앞서도 재선 이상에선 6대4로 밀리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강성 당원들은 우 의원이 이기자 탈당 경고장까지 날리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정청래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에 “당원이 주인인 정당,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상처받은 당원과 지지자들께 미안하며 당원과 지지자 분들을 위로한다”고 썼다.

이 대표와 친명계 입장에서는 이번 경선 결과로 당내 단일대오를 점검해야 함은 물론 강성 지지자들도 챙겨야 한다는 숙제를 안게 됐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깜짝 놀랐다. ‘명심’이 작동을 안 한 것 같다. 예상 밖”이라고 말했다. 이날 승리한 우 의원은 고 김근태 고문을 따르던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소속이었고 민주당에서 을지로위원회 위원장과 이 대표가 위원장인 기본사회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맡아 현역과의 관계를 넓혀 왔다.

전문가들은 이날 경선 결과로 친명계의 ‘무조건 일방통행’이 견제를 받을 것으로 봤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당 내 친명 체제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우 의원이 호흡 조절을 강조한 만큼 대여 강공 드라이브는 좀더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종훈·이범수·김주환 기자
2024-05-17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